1. 창업 이전에는 어떤 일을 하셨는지요?
공무원(남제주군청)으로 10년이상 근무하다가, 유학길에 올라 문화관광학 전공을 하였고,
유학 이후 제주관광협회 정책실장, 제주관광대 산업협력 중점교수로 있었습니다.
2. 창업은 언제 하셨는지요?
2020년도 1월 창업을 해서 현재 4년차입니다.
그래서 현재 제주창업보육센터가 5년차까지 입주가능해서 앞으로 2년까지는 여기서 활동할 것 같습니다.
3. 간단한 회사 소개 부탁드립니다
예술인들의 공동체를 만들고 싶은 마음에 창업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기획자로서 예술단체를 서로 엮어서 하나의 프로젝트를 완성하는데 필요한 회사형태를 찾아보고자 여러곳에서 자문도 얻었습니다. 그래서 우선 프리랜서 연장선에서 법인을 설립하여 운영하며 1인 기업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문화예술 연구용역, 문화예술 교육서비스, 주민참여형 축제공연기획을 하고 있으며 특히 주민참여형 축제의 가치를 올리는 일에 힘쓰고 있습니다.
현재는 북촌, 조천 마을 주민대상 교육을 통해 문화예술 공연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 진행중입니다.
4. 타 회사와 차별점은 무엇인가요?
기획을 할 때 오더대로 업무진행을 하기보다는 오더 안에 젤 중요한 가치를 발견하고자 합니다.
지역에서 마을 축제를 할 때 마을 삼촌들이 같이 할 수 있는 참여할 수 있는 축제를 만드는데 가치를 두고 만드는 점이 타 회사와는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기존 축제들은 기획사 중심이거나, 주문에 따른 맞춤 형식이지만
저는 주민 참여형을 중심으로 하여 주문자와 같이 축제를 만들어 가는 형식입니다.
수 많은 축제를 15년 이상 하고 있는데 초창기에는 주문자에 요구에 맞춰주는 행사를 많이 했었는데,
이제는 마을주민이 참여하는 가치창출 공동체가치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나아가는 추세입니다.
또한 앞으로 마을주민 교육해서 공연을 할 수 있도록 진행하여 공연제작사로도 5~10년정도 앞을 보면서 준비하고 있습니다.
5. 회사 운영하면서 어려운 점들이 있는지?
현재 매출구조는 B2G가 많아서 매출구조가 이익이 많이 나는 구조는 아닙니다.
문화예술용역이나 축제같은 것은 부가세를 인정 안해주고 있고, 대표 인건비(기획비)를 10%까지만 인정을 해주는 현실입니다.
매출이 나더라도 실제 순이익은 안나는 구조로 고민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6. 협회에 바라는 점이 있는지?
JSA 자체적으로 매달 정기적으로 창의적인 네트워킹 활동등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참가비를 받아서 기업들 간 서로 소개하며 알아가는 식으로 진행하는 다양한 행사를 희망합니다.
7. 회사 소개 바로 가기:
https://startupjeju.org/members-info/?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17735224&t=board


1. 창업 이전에는 어떤 일을 하셨는지요?
공무원(남제주군청)으로 10년이상 근무하다가, 유학길에 올라 문화관광학 전공을 하였고,
유학 이후 제주관광협회 정책실장, 제주관광대 산업협력 중점교수로 있었습니다.
2. 창업은 언제 하셨는지요?
2020년도 1월 창업을 해서 현재 4년차입니다.
그래서 현재 제주창업보육센터가 5년차까지 입주가능해서 앞으로 2년까지는 여기서 활동할 것 같습니다.
3. 간단한 회사 소개 부탁드립니다
예술인들의 공동체를 만들고 싶은 마음에 창업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기획자로서 예술단체를 서로 엮어서 하나의 프로젝트를 완성하는데 필요한 회사형태를 찾아보고자 여러곳에서 자문도 얻었습니다. 그래서 우선 프리랜서 연장선에서 법인을 설립하여 운영하며 1인 기업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문화예술 연구용역, 문화예술 교육서비스, 주민참여형 축제공연기획을 하고 있으며 특히 주민참여형 축제의 가치를 올리는 일에 힘쓰고 있습니다.
현재는 북촌, 조천 마을 주민대상 교육을 통해 문화예술 공연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 진행중입니다.
4. 타 회사와 차별점은 무엇인가요?
기획을 할 때 오더대로 업무진행을 하기보다는 오더 안에 젤 중요한 가치를 발견하고자 합니다.
지역에서 마을 축제를 할 때 마을 삼촌들이 같이 할 수 있는 참여할 수 있는 축제를 만드는데 가치를 두고 만드는 점이 타 회사와는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기존 축제들은 기획사 중심이거나, 주문에 따른 맞춤 형식이지만
저는 주민 참여형을 중심으로 하여 주문자와 같이 축제를 만들어 가는 형식입니다.
수 많은 축제를 15년 이상 하고 있는데 초창기에는 주문자에 요구에 맞춰주는 행사를 많이 했었는데,
이제는 마을주민이 참여하는 가치창출 공동체가치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나아가는 추세입니다.
또한 앞으로 마을주민 교육해서 공연을 할 수 있도록 진행하여 공연제작사로도 5~10년정도 앞을 보면서 준비하고 있습니다.
5. 회사 운영하면서 어려운 점들이 있는지?
현재 매출구조는 B2G가 많아서 매출구조가 이익이 많이 나는 구조는 아닙니다.
문화예술용역이나 축제같은 것은 부가세를 인정 안해주고 있고, 대표 인건비(기획비)를 10%까지만 인정을 해주는 현실입니다.
매출이 나더라도 실제 순이익은 안나는 구조로 고민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6. 협회에 바라는 점이 있는지?
JSA 자체적으로 매달 정기적으로 창의적인 네트워킹 활동등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참가비를 받아서 기업들 간 서로 소개하며 알아가는 식으로 진행하는 다양한 행사를 희망합니다.
7. 회사 소개 바로 가기:
https://startupjeju.org/members-info/?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17735224&t=board